[뉴스큐브] 기록적 집중호우에 사망·실종 42명…이재민 7,800여 명<br /><br /><br />현재 서울에 비는 멈췄지만 그간 장마와 집중호우가 이어지면서 한강 잠수교가 열하루째 통제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록적인 폭우로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강원 철원지역에선 주민 모두가 집단으로 이주하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정상만 공주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서울에 비는 멈췄지만 한강의 수위는 아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팔당댐 방류량이 다시 늘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. 내일부터 다시 비 소식이 예고돼있는데, 한강 일대 침수 위험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잠수교는 열하루째 물에 잠겨있습니다. 잠수교가 만들어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하죠?<br /><br /> 열흘 동안 최대 1천㎜ 이상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강원 철원지역은 4개 마을이 물에 잠기면서 전쟁터를 방불케 했습니다. 이렇게 피해가 컸던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문제는 이런 침수피해가 처음이 아니라는 겁니다. 이에 이길리 주민 일부가 집단이주 의사를 밝혔습니다. 다만 주민들 의견 수렴과 막대한 이주 비용이 걸림돌인데요. 피해가 반복될 수 있는 만큼 집단이주가 근본적인 대안이 될까요?<br /><br /> 열흘 넘게 중부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사망·실종자가 42명에 달하고 있습니다. 이재민도 계속 늘어나며 7천 500명을 넘어섰는데요. 모레부터 다시 비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데요?<br /><br /> 무엇보다 그동안 내린 비로 지반이 많이 약해져 있는 점이 걱정입니다. 이렇게 집중호우가 내리게 되면 산사태 위험이 클 수밖에 없는데요. 산사태 위험 등을 미리 알고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집중호우로 발생한 산사태만 벌써 천 건이 넘었고, 인명 피해도 컸는데요. 그런데 계곡에 설치한 소형댐, 사방댐이 있는 곳에선 산사태가 나지 않았다고 합니다. 우면산 산사태 이후 설치됐다고 하는데, 왜 그런가요?<br /><br /> 많은 비가 한꺼번에 내리는 이번 장마의 특성상 갑자기 침수되거나 고립되는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했는데요. 이럴 땐 어떤 행동 요령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도내 주요 간선도로와 지선도로에서 포트홀이 심각한 상황입니다. 특히 뻥 뚫린 구멍은 빗물로 채워져 쉽게 식별하기도 어렵다고 하는데요. 장마철이면 상습적으로 포트홀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포트홀은 운전자 사이에서 '도로 위의 암살자'나 '도로 위의 지뢰'라고 불리기도 합니다. 언제, 어디서 튀어나올지 알 수 없는 데다 도로가 갑자기 꺼지는 등 예측할 수가 없어서인데, 운전자들은 어떤 점을 특히 유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